안녕하세요. 최근 경제 기사들을 보면 굉장히 자극적인 기사들이 많이보입니다.
작년까지만해도 연준에서 계속해서 물가상승에 대해서
일시적인 현상이다라고 일단락을 쳤으나 결국에는
겉잡을수 없이 상승하는 물가로 인해 지
난달 0.75%p 를 올리는 '자이언트 스텝'을 밟았습니다.
이에 맞춰 우리나라도 내일은 한국은행이 금리인상을 발표하는 날입니다.
모두들 입을 모아 올해 초유의 '빅 스텝'을 나설걸로 예측하고 있습니다.
현재 미국금리는 ?
그렇다면 지금 미국금리는 어느정도 수준일까요?
미국금리는 올초까지('22.01월)까지 0.25%를 유지하다가
3월에 0.5%p, 5월에 0.5%p, 그리고 저번달 6월에 자이언트 스텝인
0.75%p 상승하면서 현재 미국 금리는 1.75% 입니다.
현재 우리나라 금리는?
그렇다면 우리나라 금리 수준은 현재 어느정도일까요?
우리나라는 '22년 1월 기준으로 1.25% 금리를 유지하다가
미국 금리인상과 함께 4월 0.25%p를 올린 1.5%로 상승하였습니다.
그리고 5월 미국 금리인상을 예상하고 선제적 대응으로 한 번더 0.25%p를
상승시킨 1.75%가 현재 우리나라 금리 수준입니다.
즉, 오늘까지 기준으로 미국금리 = 한국금리 동일한 수준입니다.
내일은 바로 우리나라 금리 인상 발표가 예정된 날입니다.
오늘 미국 6월 기대인플레가 발표되었는데요,
무려 6.8%로 전월 대비 0.2%p가 증가되었습니다.
지난달 가파른 물가상승을 잡기위해 자이언트 스텝인 0.75%p를 올렸지만
여전히 인플레이션은 잡히지 않은 상황입니다.
이에 아래 기사와 같이 7월 FOMC에는 자이언트 스텝을 넘어선
1.0%p를 상승시키는 울트라 빅스텝이 우려된다는 기사가 나오고 있습니다.
[위클리오늘] 미 기대인플레 '역대 최고‘ 경신…’울트라 빅스텝‘ 우려도 < 금융 < 경제 < 기사본문 - 위클리오늘 (weeklytoday.com)
[위클리오늘] 미 기대인플레 '역대 최고‘ 경신…’울트라 빅스텝‘ 우려도 - 위클리오늘
[위클리오늘=김현태 기자] 미국의 기대인플레이션이 역대 최고치를 경신하면서 기준금리를 100bp(1.00%p) 올리는 ‘울트라 빅스텝’에 관한 우려도 나왔다.CNBC 등 외신에 따르면 11일(현지시간) 뉴
www.weeklytoday.com
이런 상황에서 내일 우리나라 금리 인상 수준은?
한국은행은 13일 기준금리를 한 번에 0.5%p 를 올리는 일명
'빅스텝'에 나설것으로 전문가들은 하나같이 입을 모아 말하고 있습니다.
사실 위 기사처럼 미국 물가가 잡히지 않은 상황에서
다음 FOMC 에 한 번더 자이언트 스텝인 0.75%p 상승은
불가피하며 심지어 울트라 빅스텝인 1.0%p 상승까지 예측이 나오는 가운데 우리나라
빅스텝 여부가 우세하다고 생각이 듭니다.
글로벌 투자은행인 JP모건의 박석길 금융시장본부 본부장은
"한국은행이 7월 빅스텝에 이어 계속해서 금리를 올려 연말 기준금리가 3.0%에 도달할 것"
이라고 전망하고 있습니다.
이번 금리 인상 사이클은 아직도 갈길이 멀어보입니다.
영끌 주담대, 신용 미수 주식투자 등은 굉장히 위험한 투자가 될 수 있으니
모두들 주의하시길 바라며, 하루빨리 물가가 안정되고 금리가
더이상 오르지 않고 유지 혹은 하락으로 전환되기를 바랍니다.
이상입니다
'경제공부' 카테고리의 다른 글
달러 환율 1,320원 돌파...우리나라 경제 이대로 괜찮을까? (0) | 2022.07.16 |
---|---|
한은 '빅스텝' 할 수 밖에 없었던 이유는 무엇일까? (0) | 2022.07.13 |